TECH ZOOM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이터 모빌리티를 위한 HCP 포트폴리오 더보기 "소프트웨어 정의" - 가상 인프라 관리의 핵심 최근의 연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6년까지 전체 워크로드의 85%가량이 가상화 될 것이라고 합니다. 가상화는 자원 활용도 및 민첩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강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가상 인프라의 관리는 언제나 쉽지 않는 과제이기도 합니다. 바로 이것이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지난 달 2015년 IT 전망을 발표하며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은 API 및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IT 인프라의 자동화 및 간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습니다. 관리의 핵심은 통신(communication) 입니다. VMware의 관련 툴 vCenter Operations Manager (vCOps – 현재 vRealize Operatio.. 더보기 지속적 클라우드 인프라 솔루션 액티브-액티브 솔루션을 통해 지속적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Hitachi와 Brocade의 파트너십을 확인해 보세요! 더보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오브젝트 스토리지'로 데이터 모빌리티 구현 기업의 IT 인프라는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매우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모빌리티는 기업의 유연성을 높이고 동시에, 직원들이 증가하는 업무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적인 방법들을 제시해 줍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모바일 업무 환경 확산이 IT 인프라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을까요? 모두가 인지하고 있는 것처럼 모바일 기기나 온라인 웹사이트 접속 등을 통해 항상 온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올웨이즈-온(always-on) 세계로 계속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업의 경우, 통제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 데이터 이동이 이루어지고 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접근하는 데이터 자산 보호에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더보기 2014 HDS-HIS Information Forum 2014 HDS-HIS Information Forum에 참석한 휴 요시다 (Hu Yoshida) HDS CTO의 기조연설입니다. 더보기 컨버지드 인프라 구축, 관리 효율성 제고와 운영 비용 절감 효과 탁월하다 기업의 IT 인프라는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매우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소셜, 빅데이터, 모빌리티와 같은 기술과 IT 환경의 변화는 기술의 소비 방식과 비즈니스의 발전 방향, 구매 결정 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실제로 미래 지향적인 기업들은 이를 염두에 두고 새로운 데이터 자원에 투자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일하고 빠르게 가치를 환원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의 배경에는 모든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가 언제나 든든하게 그들의 가치 혁신을 지원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 마련입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정보에 접근함으로써 보다 높은 생산성을 확보하고 매출을 신장시키는 것은 물론 고객 관계를 강화하고 최적의 의사 결정을 .. 더보기 VSAN, VVOL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DAS(Direct-Attached Storage)를 위한 VSAN, 엔터프라이즈 스토리지를 위한 VVOL VMware는 지난 2013년 6월 VSAN을 발표했습니다. VMware Virtual SAN은 VMware vSphere 커널에 임베디드 된 솔루션으로 공유 데이터 저장을 위해 서버와 DAS 형태로 HDD 및 SSD를 클러스터링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VSAN의 관리 아키텍처를 통해 각각의 VM에 해당되는 정책을 기준으로 용량 및 성능, 가용성 등 스토리지 속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VSAN의 이러한 기능을 통해 DAS를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VSAN은 스토리지 컨트롤러를 대체하므로 SSD의 읽기/쓰기 캐싱 및 프로비저닝, 스냅샷, 클론, 데이터 복제, 보호 등 기.. 더보기 Hitachi 서버의 LPAR 기능, 안전한 멀티 테넌트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다 Hitachi의 인텔 Xeon 기반 Compute Blade (CB2000/CB500) 서버는 블레이드 서버 펌웨어를 통해 임베디드된 논리적 파티셔닝 (LPAR)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원래 Hitachi 메인프레임 및 유닉스 시스템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미션 크리티컬 워크로드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위해 플랫폼을 파티셔닝 하는 개념입니다. Hitachi Unified Compute Platform (이하 UCP)과 같은 컨버지드(통합) 솔루션의 경우 LPAR을 이용하여 워크로드를 통합함으로써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라이선싱 비용을 절감하고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특히 Hitachi x86 Compute Blades는 하스웰로 알려진 인텔의 최신 프로세서 E5v3 기반으로 제공되며, LPAR에 VM.. 더보기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What Inspires Sustainable Technology?